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들은 영상에 모두 담아낸 것 같다.
[ 회고 ]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회의를 조금 더 자세하게 하자.
특히나 웹 앱의 성격과도 연관지어서 회의를 해야될 것 같다. github로 로그인하기를 구현했을 때 아차 싶었다.
다음 프로젝트는 프론트엔드를 하자
아무래도 원래 계획했던 팀원 그대로 올라온 것이 아니다 보니 내가 백엔드에 참여하게 된 일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하지만, 프론트엔드에서 UI 디자인이라던가 반응형, 코드 작성 규칙 등을 정하는 프론트엔드 회의에 참석해서 같이 의논을 해보고 좀더 세밀하게 규칙을 정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 같다. 솔직히, 그냥 나 프론트엔드 하고 싶다. 팀원 중 백엔드 하시는 분께 말씀을 드렸더니 괜찮을 거 같다고 말씀해주셔서 다음 프로젝트는 3 프론트엔드, 1 백엔드 체제로 갈 수 있을 것 같다.
다음 프로젝트는 조금이라도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보자.
이번 2주차는, 사실 2주도 아니고 1주 정도밖에 코드를 작성할 시간이 없었는데 그 시간 동안에는 뭔가 새로운 것을 할 여유가 없었고 기존에 배웠던 내용을 복습한다는 생각으로 임했다. 다음 4주차는 조금이라도 시간이 더 있으니까 그 시간을 잘 활용해서 러닝 커브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자
다음 프로젝트 때는 에러를 많이 잡아내 보자
생각보다 에러가 너무 많다. 서버 쪽의 경우 Try-Catch 구문이 제대로 작성되지 않다 보니 발생하는 에러들이 있다. 서버 쪽에서 한 번 에러가 터지면 정말 심각한 문제이므로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코드를 작성할 때 에러는 어떻게 잡으셨나요? 라는 질문을 추가하고, 그리고 내가 서버를 만약에 혹시라도 만지게 된다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에러의 경우의 수를 생각해서 꼼꼼하게 코드를 작성해야할 것 같다. 진짜 안정성은 너무나도 중요한 이슈인 것 같은데 이번 2주 프로젝트에서는 그 부분이 너무 취약했던 것 같다. 다음에 리팩토링을 진행할 때 그 부분을 신경써야 겠다.
이렇게 쓰다보니, 2주 프로젝트는 역시 4주 프로젝트를 위한 발판이었다.
작성을 하다 보니, 2주 프로젝트 때 발생했던 문제점을 발판 삼아서 4주 프로젝트 때는 그러지 말아야지 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확실히 이번 2주차 프로젝트는 뭔가 많은 에러들을 겪으면서 다음을 준비하는 시간인 것 같다. 그렇다고 Bean-us 를 그냥 이대로 방치할 생각은 없다. 다음에 4주 프로젝트가 끝나면 리팩토링을 진행해서 어엿한 포트폴리오로 만들 수 있도록 해야겠다.
'코드스테이츠 > 코드스테이츠 @ 팀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 스테이츠 / Final-Project] 126일차, "아이디어 회의" (0) | 2021.11.22 |
---|---|
[코드 스테이츠 / Intermission] 125일차, "휴식" (0) | 2021.11.20 |
[코드 스테이츠 / First-Project] 123일차, "마지막 발표 준비" (0) | 2021.11.19 |
[코드 스테이츠 / First-Project] 122일차,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다" (0) | 2021.11.18 |
[코드 스테이츠 / First-Project] 121일차, "이상한 곳들에서 나는 에러들'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