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배열 기본
const numbers = [1, 2, 3, 4]
배열 안에 있는 것을 요소, 아이템이라고 한다.
즉 1, 2, 3, 4는 numbers라는 배열의 요소, 아이템이다
const objects = [ {name: '패캠'}, {name: '인강'} ]
요소에는 객체도 들어갈 수 있다.
console.log(numbers[1])
이와 같이 배열 안 특정 인덱스에 들어가 있는 요소를 찾으려 하는 과정을 인덱싱이라고 한다.
2. 배열 메소드
2-1) .forEach ( )
배열 안의 원소를 하나하나 따로 가져올 때 사용한다.
const ninetyNines = ['이익준', '안정원', '채송화', '김준완', '양석형']
만약 forEach를 사용하지 않고 저 요소들 하나하나를 가져온다고 하면
for (let i = 0; i < ninetyNines.length; i++) { console.log(ninetyNines[i]) }
이와 같이 for로 복잡하게 생성해야 한다. 하지만 forEach를 사용한다면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
ninetyNines.forEach( friend => { console.log(friend) })
2-2) .map ( )
map은 배열에 있는 전체 내용에 변화를 주고 싶을 때 사용한다.
2-3) .indexOf ( )
해당 인자가 배열 내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를 찾아준다. -1이 나온다는 건 배열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const index = ninetyNines.indexOf('채송화') console.log(index) // 2
const index2 = ninetyNines.indexOf('장겨울') console.log(index2) // -1
2-4) .findIndex ( 특정 조건 )
배열 내부가 객체이거나 indexOf처럼 특정한 요소의 index를 찾는 것이 아닌 조건(함수 등)으로 값을 찾으려 할 때 사용한다.
2-5) .find ( 특정 조건 )
특정 조건으로 배열 내부의 요소를 찾으려 할 때 사용한다. (인덱스를 찾는 것이 아닌 요소)
const ninetyNinesInfo = [
{ name: "이익준",
session: 'Electronic Guitar',
hasGirlfriend: false },
{ name: "안정원",
session: 'Drum',
hasGirlfriend: true },
{ name: "양석형",
session: 'piano',
hasGirlfriend: false }
]
이렇게 객체를 요소로 갖는 배열이 있다고 했을 때, 내가 커플인 사람이 있는 지를 찾고 싶다고 한다면
const whoIsBetrayer = ninetyNinesInfo.find(he => he.hasGirlfriend === true )
console.log('찾으시는 배신자에 대한 정보는', whoIsBetrayer)
// 찾으시는 배신자에 대한 정보는 {name: "안정원", session: "Drum", hasGirlfriend: true}
'패캠 인강 > Vanilla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캠 인강] 비동기적 처리 (Promise) (0) | 2021.09.10 |
---|---|
[패캠 인강] 비동기적 처리 (타이머 함수) (0) | 2021.09.01 |
[패캠 인강] 단축 평가 논리 계산법(Truthy, Falsy) (1) | 2021.08.29 |
[패캠 인강] 배열과 배열 내장함수 (3) (0) | 2021.07.30 |
[패캠 인강] 배열과 배열 내장함수 (2) (0) | 2021.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