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개발 회고 23

[ je개발 회고 ] H/F 프로젝트 회고 (2) - H 프로젝트

1. H 프로젝트 기획, UI/UX 기획 처음에 기획부터 해야한다는 것이 어려웠다. 기획을 한다는 것은 그래도 어느 정도 우리가 어느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하는데 그 부분이 매우 약했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도 떨어지면서 기획을 해나가는 부분이 매우 힘들었다. 심지어 이 프로젝트는 우리 회사의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신입 2개월 차, 심지어 코드 스테이츠를 막 수료하고 나서 바로 취직이 된 거였으니 개발이란 것을 알게 된지, console.log('hello') 를 찍고 신기해 한지 8개월 째인 내가 회사의 그 수많은 데이터를 어떻게 보여줄지를 고민하고 있다니. 내가 내린 결론은 나는 절대 좋은 기획을 낼 수 없다. "물어보자" 였다. 그렇게 해서..

je개발 회고 2023.01.18

[ je개발 회고 ] H/F 프로젝트 회고 (1) - 첫 만남

1. H/F 프로젝트란? 우리 회사에서 내가 입사했을 때 신입 개발자는 세 달 수습 기간 동안 한 달에 한 번씩 발표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때, 내 3차 발표는 내가 직접 도메인을 개발해서 그 도메인에 대한 설명을 발표해야 했다. 처음에는 그룹장님께서 "이런 도메인이 있었으면 좋겠다" 라고 했던 것이 이 도메인의 시작이었다. 그냥 단순한 언급에서 시작한 것 만큼 기획부터 UI 디자인 까지 모두 직접 생각해서 도메인을 만들어야 했다. 지금 생각해도 진짜 와, 이게 가능한가? 싶긴 한데 아무튼 신입 2개월차가 도메인을 직접 기획하고 UI 디자인도 하고, 개발도 해야 했다. 그렇다 보니 피드백을 엄~~~청 많이 받았다. 정말 많이 받았다. 사실, 2개월차면 아직 메인 도메인에 대한 지식도 부족한데 이 도메인의..

je개발 회고 2023.01.16

[ je 개발 고민 ] "개발자 100일 기념 - 0일차의 나보다 발전한 점"

개발자 100일 기념으로 0일차의 나보다 더 발전한 점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글을 쓰려고 한다. 작년 7월 코드 스테이츠를 시작해서 아주 기초를 배우고 1월 중순에 개발자 1일차를 시작했다. 그렇다면 지금 나는 코드 스테이츠에서 수료하기 전과 후로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면에서 성장했는지를, 월등하게 성장했다고 생각하는 점들만 기록해보고자 한다 1. 데이터를 다루는 능력 가장 첫 번째로 데인터를 다루는 능력이다. 데이터를 잘 다룬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 적어도 0일차와 비교했을 때 굉장히 큰 성장폭을 보였다고 생각한다. 그도 그럴게 지금 내가 다루고 있는 도메인이 정리가 하나도 안 된 데이터들을 정리한 후 유의미하게 가공해서 비교,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다. 현재 내가 벡엔드를 하고는 있지 않..

je개발 회고 2022.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