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TIL 21

[코드 스테이츠] 42일차, "6주차 복습 (2) - 자료구조"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목~금 내용 복습 // 자료구조 개념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스터디 그룹)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 (~월) // 하노이의 탑 (구글링해서 풀리긴 하는데... 내가 직접 푼 게 아니라서 찝찝함)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수-토-일 운동 // 다시 운동하기 위해 노력해보겠습니다. [ 오늘의 복습 ] 1. 자료구조 1) 자료구조란? 여러 데이터들을 묶어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걸 자료구조라고 한다. 여기서 데이터라는 건 실생활의 모든 값을 의미한다. 하지만, 데이터의 값은 그 자체로 의미를 지니진 못한다. 예를 들어 100m 라는 데이터가 있다고 하자. 여기서 100m는 100m 달리기의 100m 인지, 맛집에 가기..

[코드 스테이츠] 41일차, "6주차 복습 (1) - 객체지향, 프로토타입, 재귀함수"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월~수 내용 복습 // 객체지향 // 재귀함수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 요즘 복습해야할 게 너무 많아서 안 돼 스터디 그룹)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 (~월) // 하노이의 탑 // 기능 구현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수-토-일 운동 [ 오늘의 복습 ] 1. 객체 지향 1) Class, Instance 클래스는 자동차 설계도, 인스턴스는 자동차 설계도로 만든 자동차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자동차 설계도인 클래스를 만들 때는 일반적으로 함수 정의하듯이 만들 수 있다. 이때 키워드는 일반 함수 정의하듯이 function으로 적어줄 수 있으나, ES6 문법 이래 class 라는 키워드로 클래스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코드 스테이츠] 37일차, "나는 나면서 나였을 때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제목을 저렇게 지은 이유는 오늘 수업 내용이 재귀였기 때문이다. 재귀 함수를 배우는데 진짜 머리가 빙빙 돌았던 것 같다. 개념 파악은 쉬운데, 디버깅(?)이 제대로 되지 못해 힘들었다. 오늘은 코플릿 문제들만 풀었고 내일은 과제 두 개를 풀어야 한다. 재귀 함수를 총 이틀에 걸쳐 공부하는 건 조금이라도 더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상황이기에 쌍수 들고 환영할 일이지만, 과제를 제대로 해결하기 위해서 미리 개념을 더 튼튼하게 잡아둬야할 것 같다. 오늘은 간만에 이른 시간에 블로그를 작성하는데, 작성하고 복습할 예정이다. 이번주 주말에 복습한 거 기술 블로깅할 게 많을 것 같다. 또, 오늘부터 토이 알고리즘 문제와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를 시작했다. 지금 프로그래머스를 푸는 계획은 월~수 중으로 한 문제를 풀고..

[코드 스테이츠] 36일차, Section 2 탑승 후 바로 뱃멀미

오늘 페어 프로그래밍은 매우 쉬웠다. 우리가 배운 것에 비하면. 배운 내용은 클래스와 인스턴스, 프로토타입이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라면 그냥 클래스와 인스턴스만 있는데 자바 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이기에, 그 프로토타입을 통해서 억지로 클래스와 인스턴스 비슷한 것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한다. 사용해보니 내용은 이해가 됐다. 그러나 이게 어떻게 사용되는지는 아직 확신이 안 선다. 복습을 좀더 해봐야겠지만, 지금으로써는 클래스 문법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 클래스와 인스턴스, 프로토타입의 차이가 각각 무엇인지 그 개념을 이해한 것으로 만족을 하고 활용 방법은 더 알아봐야할 것 같다. 그리고 오늘 간단하게 이제부터 매일 풀어 볼 toy problem 문제를 맛보기로 보았다. 어.. 이걸 어떤 비유로 들면..

[코드 스테이츠] 25일차, 진짜 React 잘하고 싶다

계속 보면 정든다고, React 계속 보니까 정든다. 아니 이제는 정이 드는 것을 넘어서 더 알아가고 싶다. React 왜 이렇게 좋아...?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React에 그렇게 환호성을 지르던데 그 이유를, 아직 개발의 개자도 잘 모르는 내가 느끼고 있다. 사실, 여태까지 나는 HTML, CSS 만을 갖고 생코딩을 했기 때문에 더 강렬하게 느끼는 것일 수도 있다. 분명, React는 새로운 문법도 익혀야 하고, 여러가지로 굉장히 어려운 과목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이건 진짜 배워야 겠다는 생각이, 정복해야겠다는 생각이 하면 할수록 강하게 든다. 혼자서 패캠 강의를 들을 때만 해도 그렇게까지 느끼진 못했는데 내가 직접 만들어보니 정말, 이건 혁신이라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정말 열심히 공부해서 R..

[코드 스테이츠] 24일차, "그 분(React)이 오셨다"

그 대단하신 React를 오늘부터 알현하게 됐다. 망했다. 사실 좀 미리 예습하기 위해서 패캠 강의를 듣고 있었는데, 패캠 강의를 듣고도 이해가 안 돼서 이해해보려고 엄청 쩔쩔 매다가 결국 코드 스테이츠의 React 시간이 오게 되었다. 이렇게 될 줄 알았으면 그냥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복습이나 할 걸. 괜히 React 한다고 패스트 캠퍼스 강의 더 많이 듣지도 못하고, 복습 기술 블로깅도 못하고 있었다. 뭐... 그래도 덕분에 React를 익히는데 다른 분보다는 굉장히 빠르게 익힌 것 같다. 이번에 React는 4일에 걸쳐서 진행되는데 나랑 이번에 맺게된 페어분은 이번이 개발 처음이신지라... 어쩌다 보니 내가 주도적으로 진행하게 됐다. 그래도 페어분께서 어떻게든 방법 찾아내시려고 노력하시는 편이라 다행..

[코드 스테이츠] 23일차, 배우고 부딪혀야하는 이유 2

오늘 맺은 페어 분은 수학과 과련된 전공을 하셨고, 파이썬 공부를 이미 하신 분이었다. 오늘은 고차함수를 배우는 날이라서 조금은 힘겨웠을 주제였는데 페어 분의 도움으로 빠르게 끝낼 수 있었다. 고차함수 중에서 배열 메소드인 filter, map, reduce를 굉장히 많이 사용했다. 저번 패캠 인강할 때 이미 공부하고 복습했던 부분이었기에 굉장히 자신 있었지만, 확실히 아는 것과 쓰는 것은 많이 차이난다. 내가 정말로 안다고 하려면 내가 스스로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념을 익힌다면 그것을 좀 많이 활용해보는 시간을 가져야할 것 같다.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고차함수 개념 코드 스테이츠) Pair-Programming // 고차함수 코플릿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코드 스테이츠] 22일차, 시간이 지날수록 시간이 늘어난다

코드 스테이츠를 진행할수록 공부하는 시간이 쭉쭉 늘어나고 있다. 이 블로그 쓰는 시간도 늦어지고 있는게 보인다. 블로그를 평일에는 개념 정리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지 않고 당일에만 써야하기 때문에 그냥 블로그부터 쓰고 개인 공부를 할까 고민중이다. 그 정도로 내가 따로 학습하는 시간이 너무 늘어났다. 지금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듣지 못하는 것도 그런 이유 중 하나다. 뭐.. 이 경우에는 아직 내가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해서(그 놈의 React) 복습을 알 때까지 철저하게 한 후에 다음 이어지는 강의를 들으려고 잠시 강의를 듣지 않는 것이기도 하지만, 예전처럼 패캠 강의 복습 시간을 길게 잡을 수 없는 결정적인 이유는 코드 스테이츠 관련 공부 양이 굉장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금 새로운 것들을 배우기 시..

[ 코드 스테이츠] 16일차, 20주 뒤에 보자

오늘은 CSS를 갖고 페이지를 직접 수정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중점적으로는 flex 를 활용해봤다. 이전에 패스트 캠퍼스 '네카라쿠배 2기'를 지원했을 때(1차 합격하고 2차 때 떨어졌다. 망할 파이썬) CSS 파트는 거의 암기하듯이 달달 외운 적이 있기에 비교적 나에게 flex라는 개념은 다른 분들에 비해서 쉽게 다가왔던 것 같다. 그렇다고 그것을 높은 수준에서 다룬 것은 아니었다. 내가 오늘 주목하고 싶은 곳은 이점이다. 역시 개념과 실전은 다르다. 그렇다고 개념을 내팽겨치고 무조건 실전에만 몰두하라는 건 아니다. 내가 다른 분들보다 flex에 대한 개념을 더 쉽게 받아들였기 때문에 어떤 문제에 부딪힐 때 더 빨리 flex를 활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는 점에선 좋았다. 다만, 내가 활용한 방식과 다른..

[패캠 인강] React 기초 (1)

1. 기본적인 법칙 1-1) 태그는 항상 닫혀 있어야 한다. 로 닫는 태그가 존재하거나 혹은 과 같이 Self closing이 돼야 한다. 1-2) 두개 이상의 태그는 반드시 하나의 태그로 감싸져 있어야 한다. 감싸고 있는 것은 굳이 이름있는 태그가 아니어도 된다. 과 같은 fragment로 감싸줘도 된다. 1-3) React 안에서 자바 스크립트 사용 방법 먼저, Java Script의 내용을 변수로 할당해준다. const Variable = "Value"; 이렇게 그냥 변수로 사요하면 된다. 그리고 저 변수 그리고 만약 div 내에서 저 자바 스크립트의 내용을 보여준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변수를 { } 안에 감싸줘서 표현한다. {Variable} 1-4) 클래스 이름 짓기 만약 클래스 이름을 짓고 ..

패캠 인강/React 202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