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states 46

[코드 스테이츠] 22일차, 시간이 지날수록 시간이 늘어난다

코드 스테이츠를 진행할수록 공부하는 시간이 쭉쭉 늘어나고 있다. 이 블로그 쓰는 시간도 늦어지고 있는게 보인다. 블로그를 평일에는 개념 정리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지 않고 당일에만 써야하기 때문에 그냥 블로그부터 쓰고 개인 공부를 할까 고민중이다. 그 정도로 내가 따로 학습하는 시간이 너무 늘어났다. 지금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듣지 못하는 것도 그런 이유 중 하나다. 뭐.. 이 경우에는 아직 내가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해서(그 놈의 React) 복습을 알 때까지 철저하게 한 후에 다음 이어지는 강의를 들으려고 잠시 강의를 듣지 않는 것이기도 하지만, 예전처럼 패캠 강의 복습 시간을 길게 잡을 수 없는 결정적인 이유는 코드 스테이츠 관련 공부 양이 굉장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금 새로운 것들을 배우기 시..

[코드 스테이츠] 21일차, "3주차 복습 (2)" // DOM 다시 볼 것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목~금 내용 복습 // spread, rest, 구조 분해 할당 // DOM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수-토-일 운동 [ 오늘의 복습 ] 1. Spread, Rest, 구조 분해 할당 1-1) Spread 주로 배열을 풀어 인자로 전달하거나, 각각의 요소로 넣기 위해 사용된다. 배열, 객체, 함수 인자 등에서 사용된다. function makeString(x, y, z) { return x + y + z } const strings = ["Hello", " ", "Codestates"] console.log( makeString(...strings)) // Hello Codestates 미리 혼선..

[코드 스테이츠] 20일차, "3주차 복습 (1)"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월~수 내용 복습 // Twittler Refactorying // 원시 자료형, 참조 자료형 // 스코프 // 클로저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수-토-일 운동 // 운동 좀 하자... [ 오늘의 복습 ] 1. 원시 자료형, 참조 자료형 1-1) 원시 자료형 원시 자료형이란 객체도 아니며, Method도 없는 타입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 null 등이 있고 그외 Symbol, bright 등이 있다. 원시 자료형의 가장 큰 특징은 하나의 데이터, 값 자체만을 담는다는 것이다. let string = "Hello World!"..

[코드 스테이츠] 18일차, 복습 아니면 답 없다.

오늘은 spread, rest, 구조 분해 할당을 배운 뒤 어제 오늘 배웠던 것들을 koans 라는 것으로 문제를 페어와 함께 풀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런데 단순하게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다. 풀어야 하는 문제들의 답을 미리 볼 수 있도록 했다. 답을 볼 수 있다? 이건 답을 생각해내는 그 과정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랑 페어 분은 최대한 답을 보지 않고 풀기 위해 노력했는데, 그럼에도 답을 보지 않고서는 풀기가 매우 어려운 것들이 있어서 답을 몇 번 참조했다. 심지어는 지금까지 배우지 않은 개념들을 사용해서 구글링을 엄청 하고 또 계속 찾아봐야만 했다. 어쨌든 결국에는 모든 답을 찾아내고, 스프린트 리뷰를 통해서 그 답들을 도출해내는 과정까지 익혔다. 이제 복습을 해야 내 것이 된다..

[코드 스테이츠] 12일차, "개발은 재밌네요"

어느덧 코드 스테이츠 2주차를 맞이했다. 이야. 아직 2주차밖에 안 되기는 했는데, 한 주는 금방 가는 느낌이다. 옛날에 수험생일 때 이런 기분을 느꼈던 것 같다. 한 주는 짧은데 한 달은 굉장히 긴 경험. 그런데 나중에 수료하고 되돌아보면 시간이 엄청 빨리 지났네 라는 생각이 들 것 같다. 물론 수료까지는 엄청 많이 남았지만. 여튼, 오늘 배운 내용은 배열과 객체였는데 정말 기초적인 것만 학습을 하고 코플릿 문제를 푸는 것도 거의 배열에는 어떤 메소드가 있고 메소드를 활용하는 방법들을 안내하는 느낌이라서 오류가 날 것도 없었고, 구글링할 것도 없었다. 그러다 보니 오늘 수업 과정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과정이라고 한다면 Course Reflection일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해온 것들을 돌이켜 보..

[코드 스테이츠] 11일차, Git - Got it

오늘 내가 배운 것은 Git을 통해 코드를 버전 관리하고, Git의 명령어들을 익혀서 다른 사람들과 협업을 할 때에 어떻게 오픈 소스에 Contribute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배웠다. 어제도 얘기했지만 오늘까지 매칭 된 페어분께서 CLI 장인이셔서 그런가 코드 스테이츠에서 제공해주는 개념 외에도 " --help "와 구글링을 통해 우리가 스스로 독학으로 내용을 더 찾아서 공부했다. Git은 내가 예전에 패캠으로 인강을 들었을 때도 쓴 적이 있다. 깃허브를 통해서 패캠 인강을 듣고 만든 것들을 업로드한 내용이다. 그런데 그때는 그냥 그렇게 쓰라고 하니까 썼지 이게 어떤 원리로 올라가는 건지 몰랐다. 인강에서도 git에 대한 강의가 있었지만 귀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 코드 스테이츠의 기본의 기..

[코드 스테이츠] 10일차, CLI 막연한 두려움

오늘 배운 것을 크게 보자면 CLI를 다루는 법이었다. Linux 체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명령어들을 익히고, 실제 코드를 작성할 때 CLI를 통해서 해야하는 것들(node.js와 npm을 다룰 때 )을 위한 기초 다지기의 과정이었다. 개발을 인강으로 독학하고 있을 때 가장 힘들었던 부분 중의 하나는 터미널을 다루는 것이었다. 그 이유는 1. 터미널이 어떻게 명령을 받고 동작하는지를 모른다. 2. 구글링으로 찾아서 복붙할 뿐 내가 지금 무엇을 쓰고 있는지를 모른다. 3. 이상한 거 입력했다가 노트북에 문제 생길까봐 꺼려진다 (마치 제어판에서 이상한 거 지운다고 지웠는데 하필 중요한 거였어서 운영체제 다운되는 것과 비슷한 느낌. 이거 경험담) 그렇다보니 아무래도 터미널의 검은 화면은 좀 무섭기만 하다...

[코드 스테이츠] 9일차, 첫 미니 프로젝트

오늘은 처음으로 페어 분과 함께 미니 프로젝트로 계산기를 만들었다. 코드 스테이츠에서 완성된 HTML과 CSS를 제공해주고 JS는 어느 정도의 가이드 라인만 남겨준 상태에서 수강생들이 자신의 페어와 함께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과제였다. 이 프로젝트에는 세 가지 단계가 있었다. 1. Bare level 2. Advanced level 3. Nightmare level Bare level은 우리가 지금까지 들은 수업만으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다. Advanced는 체감상 완전히 노베이스에서 코드 스테이츠 수업을 들은 사람이라면 힘들 것 같지만 그래도 지금까지 들은 수업의 내용들을 응용해낸다면 풀 수 있는 문제였던 것 같다. 대부분의 동기들이 Advanced는 다 해낸 것 같았다. (우리 동..

[코드 스테이츠] 8일차, 함께 프로젝트할 때 생기는 어려움

오늘은 CSS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과 pair programming을 통해서 함께 계산기를 만들어내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번에 내 페어분께서는 비전공자시지만 공과대학 출신이셨고, 대학교에서 교양 정도의 지식을 습득하신 분이셨다. 같이 협업하면서 느끼기에 HTML의 태그 종류나 CSS 속성 종류에 대한 암기는 오늘 배운 것만 익히셨으나 컴퓨팅적 사고에 있어서는 굉장한 능력을 지닌 분 같았다. 그래도 컴공이 속하는 공과 대학 출신이셔서 그런지 자바 스크립트를 다루시는 능력과 오류가 났을 때의 해결 능력이 매우 뛰어나셨다. 그런 분과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느낀 점과 내가 다른 사람과 협업할 때 부족해지는 점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CSS 기초 강의 듣기 코..

[코드 스테이츠] 7일차, "자기관리"하며 건강 챙기자

코드 스테이츠 1일차부터 크루 분들이 강조했던 말이 있다. "건강 챙겨야 합니다.", "프로젝트 하다가 링겔 맞았습니다. 건강 관리 정말 중요해요." 등등. 건강에 대해 엄청 강조했다. 아직 1주차밖에 되지 않았지만,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제대로 느끼고 있다. [ 오늘의 TODO ] 패스트 캠퍼스 인강 CSS 복습하기 아고라 스테이츠 동기들 질문 확인하고 답해주기 2-1) 질문 확인 2-2) 답글 달기 (내가 답글 달기 전에 벌써 답글이 달려 있더라) [ 오늘의 오류해결] 오늘 인강으로 Promise를 듣게 됐는데 인강을 따라가지 못해 몇 가지를 검색하게 됐다. 1. then( ) then이 뭔지는 알겠다. Promise가 실행된 다음에 동작하는 것까지는 이해를 했는데 강사님이 then( ) 여기에서 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