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스테이츠 49

[코드 스테이츠] 65일차, "연휴의 TODO - 1일차"

생각보다 해야할 게 많다. TODO 리스트 강의 듣기만도 벅찼다. 어떻게든 연휴 안으로 다 해보긴 할 건데, 연휴 아니었을 때 코드 스테이츠 정규 과정이랑 매우 비슷하게 시간 관리를 해야지 저 TODO 를 모두 끝낼 수 있을 것 같다. 일단은 계속 Try 해보자. [ 연휴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코플릿 문제 // 재귀 1 ~ 15 // 자료구조 1 ~ 13 코드 스테이츠) 과제 리팩토링 // beesbeesbees // Tree ui // Stringfy-json // Underbar // Async and Promise // Stateairlines-client & Stateairlines-server // React Custom Component // Cmarket Redux 패스트 캠퍼스) ..

[코드 스테이츠] 63일차, "9주차 복습 (2) - Redux"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목~금 내용 복습 // Redux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스터디 그룹)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1시간 이상 걷기 [ 오늘의 복습 ] 1. 상태 관리 React 뿐만 아니라 프론트엔드 개발 전체에 걸쳐서 상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상태란 State, 즉 변하는 데이터다. 특히 UI, 프론트엔드 개발에서는 동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라 한다. 1) 상태관리의 중요성 예를 들어 Youtube를 생각해보자. 댓글을 다는 것도 동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고, 좋아요를 누르는 것과 플레이 리스트에 영상을 담는 건 전부 동적으로 변하며 표현되는 데이터다. 이를 더 깊게 파고 들어가 본다면 상태에 따라서 각..

[코드 스테이츠] 62일차, "9주차 복습 (1) - Styled-Component, useRef"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월~수 내용 복습 // Styled-Component // useRef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1시간 이상 걷기 [ 오늘의 복습 ] 오늘 복습 내용을 확실하게 숙지하려면 CSS 의 기본적인 내용과 리액트의 개발 특징을 좀 알고 있어야 했던 것 같다. 1. Styled-Component 리액트는 단방향 데이터 흐름과 함께 대표적인 특징으로 꼽는 것이 컴포넌트 단위로 개발한다는 것이다. 페이지가 모두 완성됐는데 갑자기 내비게이션 바를 수정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만약에 컴포넌트 단위로 개발하지 않았다면 CSS파일 등 내비게이션 바와 얽혀 있는 모든 것을 수정해야 한다. 하지만, 컴포넌트 단위로 개..

[코드 스테이츠]60일차, 사라진 여가

슬슬 또 어려운 시간이 다가온다. 다음주 추석 연휴를 지나면 HA 2가 시작된다. 추석 연휴 동안에는 놀지도 못하고 공부를 빡세게 할 것 같다. 아무래도 코드 스테이츠의 큰그림이지 않았나 싶다... 코드 스테이츠는 다음 주 한 주를 아예 휴일로 지정했다. 그말인 즉슨 나는 다음주 한 주 동안 코드 스테이츠 커리큘럼에 얽매이지 않고 그동안 미뤄둔 개인 공부를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HA 대비를 해야하기에 얽매이지 않았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듯 하다... 다음 주는 스케쥴을 잘 짜서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않도록 해야할 것 같다. (개인 프로젝트랑 HA 대비, 밀린 패캠 강의 기술 블로깅 예정) 음.. 오늘도 별 건 없었다. 요즘에는 시간이 좀 촉박한 나머지 주말 기술 블로깅에 힘을 빡 주고 주중에는 ..

[코드 스테이츠] 43일차, Section 1 주제가 숨구멍

Section 2 가 시작된 이래 숨가쁘게 달려 오다가, 오늘 한 번 숨 좀 돌린 것 같다. 오늘 저번 Section 1의 고차함수 내용을 복습했다. 말은 복습이지 사실상, 개념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기 위해 페어 프로그래밍으로 과제들을 수행했다. 우리가 흔하게 쓰는 배열의 메소드들을 직접 구현했다. 배열의 메소드들(map, reduce, filter)은 그 안에 콜백 함수를 넣어주는 고차함수다 보니 배열의 메소드들을 직접 구현해봄으로써 고차 함수의 개념을 더 잘 익히게 됐다. Section 1일 때는 그렇게 괴롭혔던 고차함수가 이렇게 반가울 줄은 몰랐다. 고차함수를 구현하다 보니 "할만하다"라는 생각을 했다. 어떻게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을 정도까지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다른 말로는 ..

[코드 스테이츠] 37일차, "나는 나면서 나였을 때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제목을 저렇게 지은 이유는 오늘 수업 내용이 재귀였기 때문이다. 재귀 함수를 배우는데 진짜 머리가 빙빙 돌았던 것 같다. 개념 파악은 쉬운데, 디버깅(?)이 제대로 되지 못해 힘들었다. 오늘은 코플릿 문제들만 풀었고 내일은 과제 두 개를 풀어야 한다. 재귀 함수를 총 이틀에 걸쳐 공부하는 건 조금이라도 더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상황이기에 쌍수 들고 환영할 일이지만, 과제를 제대로 해결하기 위해서 미리 개념을 더 튼튼하게 잡아둬야할 것 같다. 오늘은 간만에 이른 시간에 블로그를 작성하는데, 작성하고 복습할 예정이다. 이번주 주말에 복습한 거 기술 블로깅할 게 많을 것 같다. 또, 오늘부터 토이 알고리즘 문제와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기를 시작했다. 지금 프로그래머스를 푸는 계획은 월~수 중으로 한 문제를 풀고..

[코드 스테이츠] 34일차, "5주차 복습 (1)"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지금까지의 내용 복습 // 1~3주차 내용 // 대표적으로 더 열심히 공부한 건 조건문, 반복문, HTML, CSS, Linux, Git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수-토-일 운동 [ 오늘의 복습 ] 1. 정말 솔직하게 말하면 복습할 것이.. 별로 없다! 진짜 솔직히 말할게요. 저 HA 공부 진짜 빡세게 공부해서 A부터 Z까지 학습해서 할 게 별로 없어요! 그래도 코드 스테이츠 다음 Section 2를 넘어가기 위해서 좀더 개념을 탄탄하게 잡기 위해 다시 한 번 복습을 강행했다. 복습한 내용들은 여기에 기술 블로깅하기 보다는 이전에 복습한 글들을 업데이트 했다. 오늘 공부는 대부분 패캠 강의로 했다..

[코드 스테이츠] 27일차, "4주차 복습(1)"

[ 오늘의 TODO ] 코드 스테이츠) 월~수 내용 복습 // 고차함수 개념 // React Intro 개념 코드 스테이츠) 어제 한 거 Advanced 완성 // 거의 모든 시간을 쏟아부었으냐 결국 못해냄 패스트 캠퍼스) 인강 3개 이상 듣기 // optional 생활) 물 1L 이상 마시기 생활) 수-토-일 운동 // 운동은 저 Advanced 때문에 생각도 못함 [ 오늘의 복습 ] 1. 고차함수 1-1) 고차함수의 개념 자바 스크립트에서 함수는 일급객체 취급을 받는다. 일급 객체는 다음과 같은 취급을 받게 된다. 1. 변수에 할당 가능 2.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 가능 3. 다른 함수의 결과로써 리턴 가능 즉, 일급 객체인 함수는 하나의 데이터처럼 다룰 수 있다. 고차함수란 함수를 인자로 받을 수..

[코드 스테이츠] 26일차, Section 1의 끝이 보인다.

오늘은 이번에 패캠 인강에서도 포스팅했던 useState 와 관련된 프로그래밍을 했다. 패캠 인강에 기술 블로깅 할 때는 내가 인강에서 배운 내용들을 이해하고 있었을 때, 이 로직이 왜 필요하고 사용됐는지, 왜 그렇게 쓰였는지를 알고 나서 글을 작성한다. 그러니까 나는 useState에 어느 정도 감이 있었고, 그 개념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 실제로 맨땅에 헤딩으로 코딩을 작성하려고 보니까 분명히 아는 개념인데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너무 많이 애를 먹었다. 작동하지 않은 이유는 내가 useState의 문법에 어긋나서 썼다기 보다는 그냥 내 바보같은 실수(name = "username" 인데 name = {username} 이런 식으로 쓰는 어이없는 실수) 때문에 그렇게..

[코드 스테이츠] 25일차, 진짜 React 잘하고 싶다

계속 보면 정든다고, React 계속 보니까 정든다. 아니 이제는 정이 드는 것을 넘어서 더 알아가고 싶다. React 왜 이렇게 좋아...?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React에 그렇게 환호성을 지르던데 그 이유를, 아직 개발의 개자도 잘 모르는 내가 느끼고 있다. 사실, 여태까지 나는 HTML, CSS 만을 갖고 생코딩을 했기 때문에 더 강렬하게 느끼는 것일 수도 있다. 분명, React는 새로운 문법도 익혀야 하고, 여러가지로 굉장히 어려운 과목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이건 진짜 배워야 겠다는 생각이, 정복해야겠다는 생각이 하면 할수록 강하게 든다. 혼자서 패캠 강의를 들을 때만 해도 그렇게까지 느끼진 못했는데 내가 직접 만들어보니 정말, 이건 혁신이라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정말 열심히 공부해서 R..